[SNS] 다 괜찮아 질꺼야, 힘내~ 다 괜찮아 질꺼야, 힘내~ 치유가 필요하다고 해서 무작정 누구에게 기대려고 하지 마세요. '힘들지 않냐?'고 물어주는 사람이 없다고 서운해하지도 마세요. 힘이 되는 사람이 없다고 자책도 하지 마세요~ 오늘 하루 서럽고 힘든 일이 있었다면 마음 속에 쌓아두지 말고 당장 털어내세요. 그리고 내 가슴에 조용히 손을 얹고 토닥거리며 조용히 속삭이세요. '많이 힘드니?'라고, '곧 괜찮아 질거라'고, '힘내라'고..." 사람 2022.08.02
심지와 의지 몸(身)만 안으면 포옹(抱擁)이지만 마음(心)까지 안으면 포용(包容)이다. 행복(幸福) 은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찾아가는 것이다. 참 사랑은 확인(確認)하는 것이 아니라 확신(確信)하는 것이다. 인연(因緣)의 교차로엔 신호등이 없다. 스치던, 멈추던 선택은 각자의 몫이다. 젊음을 이기는 화장품도 없고, 세월을 이기는 약도 없다. 닫힌 마음(心)을 열 수 있는 건 당신 뿐이다. 음식(飮食)은 자기가 뱉은 걸 먹을 수 있지만 말(言)은 자기가 뱉은 걸 먹을 수 없다. 심지(心志)가 없으면 불을 밝힐 수 없고, 의지(意志)가 없으면 삶을 밝힐 수 없다. 비올 땐 아쉽고, 개일 땐 귀찮다면 그도 당신을 그렇게 생각 할 것이다. 그것이 우산을 잘 잃어버리는 이유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2.07.29
[sns철학] 연륜 , 성숙, 깨달음 "학문"(學文)은 배우고 익히면 될 것이나, "연륜;(年輪)은 반드시 "밥그릇"을 비워내야 한다 그러기에 나이는 거저 먹는 것이 아니지요. 노년의 아름다움은 "성숙"(成熟)이다. "성숙"은 "깨달음"이요 "깨달음"엔 "지혜"를 만나는 길이다. 손이 커도 베풀 줄 모른다면, 미덕의 수치요. 발이 넓어도 머무를 곳 없다면, 부덕(不德)의 소치라는 것을, "지식"(知識)이 "겸손"을 모르면 "무식"(無識)만 못하고, "높음"이 "낮춤"을 모르면 존경을 받기 어렵다는 것을, 세상이 나를 힘들게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로 하여 무거운 것임을, 세월이 나를 쓸쓸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로 하여 외로운 것임을, 사람의 멋이란? 인생의 맛이란? 깨닫지 않고는 느낄수 없는 것! 사람 2022.07.25
[SNS철학]인생이 바뀌는 대화법 ⋆。˚ ☁︎ ˚。⋆。 인생이 바뀌는 대화법 내 마음이 고약하면 남의 말이 고약하게 들립니다. 지적은 간단하게, 칭찬은 길게 하시기 바랍니다. 말투는 내용을 담은 그릇입니다. 따져서 이길 수는 없습니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도 잔소리는 용서가 안됩니다. 좋은 말만 한다고 해서 좋은 사람이라고 평가받는 것은 아닙니다. 유머에 목숨 걸지 마십시오. 반드시 답변을 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면 화를 자초합니다. 앞에서 할 수 없는 말은 뒤에서도 하지 마십시오. 농담이라고 해서 다 용서되는 것은 아닙니다. 표정의 파워를 놓치지 마십시오. 말은 하기 쉽게 하지말고 알아듣기 쉽게 하십시오. 당당하게 말해야 믿습니다. 흥분한 목소리 보다 낮은 목소리가 위력 있습니다. 눈으로 말하면 사랑을 얻습니다. 덕담은 많이 할 수록 좋습니다. 공치사 하면 누구.. 사람 2022.07.25
성품이 학식 보다 우선 링컨은 "사람의 성품은 역경을 이겨낼 때가 아니라, 권력이 주어졌을 때 가장 잘 드러난다." 라고 했다. 모든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있고 아무도 뭐라고 할 수 없는 위치에 올랐을 때 자유의지로 어떤 선택을 하느냐가 가장 성품이 적나라하게 나타난다. 권력을 쥐게 되면, 성품이 좋은 사람은 그 권력을 약자를 보호하는 데 쓰는 반면, 성품이 좋지 않은 사람은 남들을 학대하고 자기 지위를 누리는데 쓴다는 것이다. 그래서 권력을 쥐어주면 성품이 고스란히 드러난다는 얘기다. 청나라 황제 강희제는 이렇게 말했다. "인재를 논할 때 반드시 덕을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 사람을 볼 때 반드시 성품을 본 다음 학식을 본다. " 사람 2022.07.11
[SNS철학] 세상을 생각하라 💧세상을 생각하라. 이 세상은 당신 혼자만 사는 세상이 아니다. 그리고 세상에 홀로 나만 있는 삶은 아니다. 💧네가 있고 내가 있고 우리가 사는 세상이다. 당신이 오로지 자신만을 생각할 때 당신 자신도 불행한 것이고 당신의 주변을 둘러싼 사람도 불행하게 되는 것이다. 💧당신이 남을 생각할 수 있을 때 진정으로 당신이 잘 살 수 있는 법이다. 💧세상을 생각하라. 만약 남이 다 못 사는데 당신 혼자만 잘 산다면 당신이 잘 사는 것이 아니다. 💧정말 잘 사는 길은 나만 잘 사는 것이 아니라 너도 잘 살고 나도 잘 살고 우리가 다같이 잘 살 때 당신도 이런 세상에서 잘 살 수 있다. 💧당신이 진정으로 이 세상에서 행복하고 잘 살기를 바란다면 세상을 생각하라. 그리고 이웃을 생각하라. 사람 2022.06.27
구정 선사(九鼎禪師) 이야기 스님이 되기 위해 노승을 찾아간 젊은이에게 스님은 솥을 걸어보라고 시켰다. 젊은이는 서툰 솜씨로 정성껏 솥을 걸었지만, 노승은 이리저리 트집을 잡아 ‘다시 걸게!’를 무려 아홉 번이나 반복하였다. 그리고 젊은이에게 말했다. “계속 일을 반복하여 시키는데 자네는 화가 나지도 않나?" 그러자 젊은이는, “세 번까지는 화가 났습니다. 그러나 분명 무슨 뜻이 있을 거라 생각하니 오히려 기대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몇 번이든 더 반복할 자신이 있습니다." 노승은 “다른 사람들은 보통 세 번이면 화를 내고 가버리는데 자네는 아홉 번까지 참았네. 오늘부터 자네를 제자로 삼고 자네의 이름을 구정이라 부를 걸세." 그는 후에 구정 선사(九鼎禪師)로 존경받는 스님이 되었다. “잘못된 방향으로 힘차게 걷느니 절뚝거리더라도 옳.. 사람 2022.06.07
[SNS] 늘 이런 사람이 되고 싶다 절대적으로 좋은 사람이 있죠 없어도 있을꺼라 믿고 닮아가려고 하죠. 그래서 사람은 발전하나 봐요 언제나 고른 숨으로 뜻한 바 곧은길을 묵묵히 걸어가는 사람 가식 없고 아집 없는 오로지 자신의 의지로 잔잔한 일상을 맞이하는 사람 행운을 기다리지 않고 행복을 염원하면서도 몸과 마음이 끝없이 움직이는 사람 상대의 눈을 맞추고 겸손한 마음으로 가슴 가득 잔잔한 웃음과 미소를 건네는 사람 백 마디 말보다 한번 따뜻하게 안아주고 천 마디 말보다 자주 문안 인사 드리는 사람 옳고 그름을 잘 가려 선한 벗을 널리 하며 악한 일에 휘말리지 않고 늘 호수처럼 깊이를 더하는 사람 늘 이런 사람이 되고 싶다. 사람 2022.05.13
[SNS펌] 인생을 잘 살려고 하지 말자 인생을 너무 잘살아야겠다고 생각하면 지금의 인생이 초라해집니다. 인생은 그냥 길가에 풀 한포기가 나서 사는 것과 같습니다. 아침에 눈을 뜨면 ‘오늘도 살았네!’ 한 번씩만 외쳐 보세요. 살았다는 느낌보다 인간에게 더 좋은 에너지를 주는 것은 없습니다. 인생에 너무 많은 의미를 두지 마세요. 항상 현재에 살아야 합니다. 현재에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살아있다는 것입니다. 불행한 이유들을 만들어서 움켜쥐고 있지 말고, 놓아버리고 살아있는 행복을 누리시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누구나 잘 살고 싶죠 부자되고 성공하고 ... 사람 2022.05.09
성공하고 승리하는 사람의 특성은 ①절대 긍정 ②항상 감사 ③오직 초심 ④뚝심 일관입니다. 성공하고 승리하는 사람의 특성은 ①절대 긍정 ②항상 감사 ③오직 초심 ④뚝심 일관입니다. 탈무드에는 ‘이 세상에 가장 지혜로운 사람이 누구인가? 어떠한 경우에도 배움의 자세를 갖는 사람이다. 이 세상에서 제일 강한 사람은 누구인가?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기는 사람이다. 그리고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누구인가? 지금 이 모습 그대로 감사하면서 사는 사람이다.‘ 라고 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은 감사하는 사람의 것'이라고 했고, 인도의 시성(詩聖) 타고르가 '감사의 분량이 곧 행복의 분량' 이라고 했듯이, 사람은 감사한 만큼 행복하게 살 수 있습니다. 빌 헬름 웰러는 '가장 행복한 사람은 가장 많이 소유한 사람이 아니라, 가장 많이 감사하는 사람' 이라고 말했습니다. 사람 2022.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