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 149

‘그치지 않는 비’는 없다는 미국의 작가 마크 트웨인(Mark Twain)

두 친구가 일요일 식사를 마치고 식당 문을 나섰습니다. 그런데 밖으로 나오자마자 하늘이 어두워지더니 비가 내리기 시작했습니다. 두 친구는 어쩔 수 없이 식당 처마 밑에서 비를 피하기로 했습니다. 시간이 꽤 지난 뒤에도 비는 그칠 기미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한 친구가 조바심을 내며 다른 친구에게 물었습니다. “도대체 이 비가 그치기는 하는 걸까?” 다른 친구가 말했습니다. “자네 그치지 않는 비를 본 적이 있나?” ​ 인생을 살다 보면 어려운 일이 많습니다.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았던 시련도 당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치지 않는 비’는 없다는 미국의 작가 마크 트웨인(Mark Twain)의 말처럼 인생에서 끝나지 않는 시련은 없습니다. 비는 그치죠. 조급하게 서두르지 말고 기다리는 여유가 필요한 것 같..

사람 2024.02.26

[SNS펌] 사람을 이기려 들지 말자!

사람을 이기려 들지 말자! 이겨서 듣는 건 원망(怨望)이요 이겨서 얻는 건 이별(離別)이고 이겨서 남는 건 외로움 밖에 더 있으랴 세상(世上)을 이기려 들지 말자! 이겨서 듣는 건 욕(辱)이요! 이겨서 얻는 건 적(敵)이고! 이겨서 남는 건 상처(傷處) 밖에 더 있으랴! 인생살이는 이기는 것이 지는 것이고 지는 것이 이길 때가 있으니 이 또한 世上 이치로다. 우리는 이런 이치(理致)를 잘 아는 사람을 인생 달인(達人)이라 부릅니다. "내가 나를 만듭니다!" 똥이 방에 있으면 오물(汚物)이라고 하고 밭에 있으면 거름이라고 합니다. 모래가 방에 있으면 쓰레기라 하고 공사장에 있으면 재료(材料)라고 합니다. 우리 人生도 행복(幸福)과 불행(不幸)을 처음부터 선택(選擇)해서 태어나지 않습니다! 힘든 세월(歲月)..

사람 2023.11.10

SNS펌 / 인간은 강물처럼 흐르는 존재이다

(커피)(커피)아침편지 인간은 강물처럼 흐르는 존재이다 우리들은 지금 이렇게 이 자리에 앉아 있지만 끊임없이 흘러가고 있다. 늘 변하고 있는 것이다. 날마다 똑같은 사람일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함부로 남을 판단할 수 없고 심판할 수 없다. 우리가 누군가에 대해서 비난을 하고 판단을 한다는 것은 한 달 전이나 두 달 전 또는 며칠 전의 낡은 자로써 현재의 그 사람을 재려고 하는 것과 같다 그 사람의 내부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비난은 늘 잘못된 것이기 일쑤이다 말로 비난하는 버릇을 버려야 우리 안에서 사랑의 능력이 자란다. 좋은 주말되세요. https://youtu.be/gwYV9kmBJ1g?si=8YYMOF6vNqFohqHf ○●○○●○

사람 2023.11.03

[물을 자주 안 마시면 나타나는 이상 증상] 

[물을 자주 안 마시면 나타나는 이상 증상] 1. 잦은 두통이 느껴진다. 가벼운 탈수증을 앓고 있을 때,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 두통이라고 해요. 이는 충격으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액체가 감소해서 나타난다고 합니다. 2. 두통이 악화된다. 몸에 수분이 부족하면 두통이나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 신경질, 구토 증상까지 일으킬 수 있어요. 3. 밥을 먹고 금방 허기가 진다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으면 배고픔을 자주 느낀다고 합니다.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지 못 할 경우 목마름을 배고픔으로 착각해 과식을 하기 쉬운데요. 우리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수분이 필요하다고 몸이 보내는 신호일 수 있어요. 다이어트 중이라면 적절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병행하고 충분한 물 섭취를 하는 것이 좋답니..

사람 2023.11.02

스톡데일 패러독스(Stockdale Paradox)

스톡데일 패러독스(Stockdale Paradox)는 심리학자이자 전투기장에서 경험한 미국 해군 장교인 제임스 스톡데일(Admiral James Stockdale)이 제시한 개념입니다. 이 패러독스는 어려운 상황에서의 타협 없는 현실적인 사고 방식을 설명합니다. 스톡데일은 베트남 전쟁 중 포로로 잡히고 8년간의 고문과 고립을 견디면서도 생존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패러독스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가장 중요한 점은 낙관주의와 현실주의를 조화시키는 것이라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스톡데일 패러독스는 두 가지 주요한 원칙으로 구성됩니다. 첫째, 낙관주의: 어떤 어려운 상황이든지 해결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희망을 가져야 합니다. 둘째, 현실주의: 현실을 직시하고 어려움을 인정하며, 실제로 어떤..

카테고리 없음 2023.11.02

새겨들으면 딱 좋은 짧은 글귀20가지

새겨들으면 딱 좋은 짧은 글귀20가지 1.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나만의 속도로 2. 사랑하는 사람이랑 맛있는거 먹으면서 살자. 3. 그개뭐든 시작해야 알수있어 4. 지금 하는 고민을 1년 후에도 할까? 5. 다 괜찮다. 삶의 균형을 맞추자. 6. 내가 하는 일들은 결국 행운을 불러온다. 7. 멈춰있지만 않으면 언제가는 꼭 도착한다. 8. 한번 사는 삶이다 하고 싶은거 하면서 살자. 9. 관계보다 소중한건 나 자신. 10. 용기내서 살자 제일 무서운건 후회니깐. 11. 지나고 나면 별거 아니야~ 12. 다 똑같은 사람인데 기죽을거 없지 13. 어쩔 수 없는 건 어쩔수 없는대로~ 14. 올곧게 나아가면 올곧은 길이 열린다. 15. 쪽팔리게 살지말자. 16. 내 행복은 내 책임감이다. 17. 과거에 메이는건 ..

사람 2023.10.31

마음 처방전

마음 처방전 "앞 과 뒤" 거울은 앞에 두어야 하고, 등받이는 뒤에 두어야 한다. 잘못은 앞에서 말해야 하고, 칭찬은 뒤에서 해야 한다. "주먹과 미소" 주먹을 앞세우면 친구가 사라지고, 미소를 앞세우면 원수가 사라진다. 미움을 앞세우면 상대편의 장점이 사라지고, 사랑을 앞세우면 상대편의 단점이 사라진다. "행복과 만족" 이 세상에 행복보다 더 좋은 것이 있다. 그것은 만족이다. 큰 행복이라도 만족이 없으면 불행이고, 아주 작은 행복도 만족이 있으면 큰 행복이다. "희망과 용기" 희망이란 촛불이 아니라 성냥이다. 바람 앞에 꺼지는 촛불이 아니라 꺼진 불을 다시 붙이는 성냥이다. 용기란 깃대가 아니라 깃발이다. 바람이 불면 불수록 더 힘차게 나부끼는 깃발이다. https://youtu.be/cXHduPVr..

사람 2023.09.11

"이론을 모르면 무식하다. 현실을 모르면 바보다."

"이론을 모르면 무식하다. 현실을 모르면 바보다." 화엄경은 인간사를 ‘이(理)’와 ‘사(事)’로 구분한다. 절을 운영하기 위해선 교리를 담당하는 이판승(理判僧)과 살림을 맡는 사판승(事判僧)이 필요하다. 조선 시대에 승려가 된다는 것은 막다른 선택이었다. 이후 두 가지가 결합된 이판사판은 ‘끝장’을 의미하는 엉뚱한 말로 전이되고 말았다. 사실 진정한 고수는 이판과 사판 모두 걸림이 없는 사람이다. 그러나 요즘엔 과학도 무시하는 얼치기 ‘운전수 지식(Chauffeur’s knowledge)’이 판치고 있다. 나아가 작은 가게 운영조차 못 해본 사람이 서민 경제를 살리겠다고 큰소리치는 세상이 되었다. “무지보다 위험한 것은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버나드 쇼의 말이다. - 이동규, 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

사람 2023.09.08

돈을 모으는 36가지 습관

💘돈을 모으는 36가지 습관💞 1. 돈을 모으는 목적을 동심(童心)으로 돌아가 생각해 본다. 꿈이 있는 사람은 자연히 돈을 모으게 된다. 2. 항상 “인생의 위험”을 염두에 둔다. 만일을 위해 1천만 원의 저축은 갖고 있어야 한다. 3. 매달, 수입과 지출을 파악한다. 결과적으로 쪼들리지 않은 것과 정말로 쪼들리는 것은 다르다. 4. 본업에 충실해라. 부지런한 부자는 하늘도 못 막는다. 5. 몸과 마음을 돌보는 데는 돈을 아끼지 마라. 수입을 유지,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투자도 필요하다. 6. “살림을 꾸려 가는 것은 아내의 일”이라고 단정 짓지 마라. 절약, 검약에는 가족의 협력이 필요하다. 7. 자잘한 “절약”은 그만둬라. 생활을 좀더 간소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8. 매달 저축할 돈을..

카테고리 없음 2023.09.01

인체의 대사활동 전 과정을 요약(要約)

우리가 음식(飮食)을 먹고 소화(消化)를 시켜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營養素)를 흡수하여 인체(人體)를 유지하고 남은 찌꺼기는 배출(排出)하는 순환과정(循環過程)을 이해하면 노년(老年)의 건강유지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인체의 대사활동 전 과정을 요약(要約)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우리가 먹는 음식물(飮食物)은 위, 소장, 대장, 항문(肛門)으로 이어지는 9 미터 길이의 관을 통과(通過)한 후, 똥으로 나오게 됨. 2. 음식물(飮食物)들이 관을 통과하는 과정(過程)에서 흡수된 것들은 모두 간으로 가고, 간은 이것을 포도당으로 바꿈. 3. 포도당(葡萄糖)은 피를 타고 돌다가 근육세포(筋肉細胞)로 들어가게 됨. 4. 포도당 혼자로는 세포(細胞)로 못 들어가고, 문을 열어야 들어가는데, 이 문을 여는 게..

사람 2023.08.25
728x90
반응형
LIST